이택수 통신콘텐츠부 기자
문화관광부는 오는 11월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킨텍스(KINTEX)에서 `지스타(G―STAR 2005)' 국제게임전시회를 개최한다. 이 전시회는 한국의 게임시장을 아시아 게임시장 허브로 만들기 위해 기획된 것으로, 2년여의 산고 끝에 추진하게 됐으나 시작 자체는 만시지탄의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아시아 게임시장이 한국을 중심으로 온라인 지각재편을 시작하면서 비즈니스 전시회의 필요성이 제기된 지 이미 2―3년이 훌쩍 지나갔기 때문이다. 또 B2C 전시회를 표방했던 일본 도쿄게임 쇼가 흥행에 참패하면서 아시아를 대표하는 게임전시회가 사실상 사라지게 된 것도 `지스타'의 늦은 출범을 아쉬워하게 된 배경이 된 것 같다.
이에 문화관광부는 정보통신부와 손잡고 지난해말 뒤늦게나마 지스타 전시회 조직위를 출범시켰다. 앞서 국내에서 열리던 각종 군소 전시회를 통폐합하는 조치가 단행되기도 했다.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최근 지스타의 성공적 개최 가능성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다. 이미 한차례 전시회 개최지나 개최 기간 등에 대해 문제 제기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개선을 위한 노력이 전혀 없었던 데다 전시회 실무를 담당하는 사무국이 이제야 꾸려지는 등 문제점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정부 보다 더 답답한 것은 사실 게임 업체들이다. 정부 규제에 대응해 협회를 만들 줄만 알았지, 정작 정부의 지원사업을 제대로 활용할 줄은 모르고 있다는 얘기다.
정부 역할에 대해서도 한마디 하지 않을 수 없다. 사실 지스타를 위한 정부의 노력은 조직위를 만드는 데서 끝났다고 봐야 한다. 나머지 일은 업계가 나서야 한다. 지금 상황만 보자면, 게임 업체들은 정부가 밥까지 떠 먹여 주기를 바라고 있는 것과 비슷한 형국이다.
정부가 멍석을 깔아놓았으니 이제는 업계가 스스로 나서야 한다. 아시아를 대표하는 세계 3대 게임전시회의 주체는 정부가 아니라 업체 자신이기 때문이다. 한국을 아시아 게임 시장의 허브로 만드는 일이 정부만의 일이 아니라 바로 업계의 일임을 이제는 업체들도 깨달을 때가 됐다.
이택수 mica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