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uke가 바라보는 세상.

라팔도 격추 - 파키스탄에 도입된 중국 산 무기 전격 분석. 본문

◆ My StorY ◆/□ 사회 이야기

라팔도 격추 - 파키스탄에 도입된 중국 산 무기 전격 분석.

Editor.zuke 2025. 5. 10. 14:56
반응형
SMALL

2025.05.08 - [◆ My StorY ◆/□ 사회 이야기] - J-10C vs 라팔, 중국의 자존심 vs 유럽의 베테랑, 전투기 성능 전격 비교

 

J-10C vs 라팔, 중국의 자존심 vs 유럽의 베테랑, 전투기 성능 전격 비교

파키스탄 "자국 중국산 J-10C 전투기가 印 최신예 라팔 격추" | 연합뉴스 파키스탄 "자국 중국산 J-10C 전투기가 印 최신예 라팔 격추" | 연합뉴스(베이징=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 파키스탄이 지난

zuke.tistory.com

 

파키스탄의 중국산 J-10C전투기가 인도의 최신예전투기 라팔을 격추한 것으로 확인 되고 있는 가운데

인도의 드론을 방어한 방공 시스템도 중국 산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는 9일 중국 메체인 봉황망등에 따른 8일 인도의 이스라엘 드론 25기가 파키스탄의 주요 도시에 침투하였으나, 무력화 하였다고 주장 하며 방공 시스템이 주목 받고 있다. 

 

이에 파키스탄에서 도입하고 있는 중국산 무기의 중류와 자세한 사양을 살펴 보기로 한다.

 


파키스탄은 중국과의 전략적 군사 협력을 통해 다양한 중국산 무기를 도입하여 군사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무기들은 최근 인도와의 충돌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습니다. 아래는 파키스탄에 도입된 주요 중국산 무기들과 그 성능, 그리고 비교 대상 무기들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전투기

JF-17 'Thunder' 

  • 개요: 중국(청두 항공)과 파키스탄이 공동 개발한 다목적 경전투기.
  • 도입 수량: 약 156대.
  • 주요 성능:
    • 속도: 최대 마하 1.6.
    • 전투 반경: 약 1,850km 내외
    • 무장: PL-15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 탑재 가능.
    • 레이더: AESA 레이더 장착.
  • 비교 대상:
    • 인도 LCA Tejas: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과 운용의 유연성 면에서 차별화된 성능을 보입니다.
    • F-16 전투기: F-16보다 낮은 운용 비용과 경제적인 유지보수 측면에서 경쟁력을 갖추며, 최신 전자전 기술이 접목되어 비슷한 다목적 임무 수행이 가능합니다.

J-10C '비거러스 드래곤' 전투기

  • 개요 및 성능: 중국산 다목적 전투기 J‑10C는 최신 전자전 시스템와 AESA 레이더, 고속·고기동성을 자랑하는 최신형 전투기로 평가
  • 도입 수량: 약 20대.
  • 주요 성능:
    • 속도: 최대 마하 2.0.
    • 전투 반경: 1,200km 내외
    • 무장: 공대공 미사일(PL‑15E 등 탑재 가능), 공대지 무장 다각적 운용
    • 레이더: AESA 레이더 장착.
  • 비교 대상:
    • 인도의 라팔 전투기.
    • 인도 LCA Tejas, 미국 F‑16 등과 비교해 최신 기술력과 기동성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음

무인항공기(UAV)

CH‑4 / Wing Loong 시리즈

Only One Of Iraq's Chinese CH-4B Drones Is Mission Capable As Other Buyers Give Up On Them

  • 개요 및 성능: 중국산 중고도 장기 체공 무인 항공기로, 정찰과 정밀 타격 임무를 수행합니다.
  • 주요 스펙:
    • 체공 시간: 최대 24~40시간 이상
    • 페이로드: 정밀 유도 무기(폭탄, 미사일) 탑재 가능
    • 고해상 영상 및 센서 데이터로 실시간 정찰지원
  • 비교 대상: 미국 Predator 계열에 비해 저렴한 도입 비용과 운용비를 통해 비용 대비 높은 효율성을 보임

공대공 미사일 시스템

PL-15E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

PL15 and PL-12 missile - PL-15 - Wikipedia

  • 개요: 중국이 개발한 장거리 공대공 최신형 미사일의 수출형.  높은 off‑boresight 공격 능력과 연장된 사거리, 그리고 액티브 레이더 유도가 특징입니다.
  • 주요 성능
    • 사거리: 약 200Km 내외 (운용조건에 따라 변동
    • 유도 방식: 액티브 레이더 유도 및 다중 목표 대응
    • 통합 전투체계와 연계되어 전투기의 생존력 및 타격능력 강화
  • 비교 대상: 미국 AIM‑120 AMRAAM, 러시아 R‑77 등과 비교해 가격 효율성과 유지보수 측면에서 경쟁력 있음

방공체계

HQ-9P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

Chinese HQ-9 launcher - HQ-9 - Wikipedia

  • 개요: 중국의 HQ-9 시스템의 파키스탄 수출형으로 파키스탄 방공 네트워크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
  • 주요 성능
    • 사거리: 최대 125km. (보고서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유도 방식: 주로 세미 액티브 레이더 호밍(SARH) 방식을 사용하며, 중간 단계에서는 관성 유도 및 업링크 보정을, 최종 단계에서는 액티브 레이더를 사용합니다.
    • 특징: 고도 및 장거리 표적 요격 능력 보유.
      • 다중 목표 교전: HT-233 위상 배열 레이더를 사용하여 동시에 여러 목표를 추적하고 교전할 수 있습니다.
  • 배치 : 2021년 
  • 비교 대상 : 러시아 S‑300/S‑400 계열, 미국 Patriot 시스템 등과 운용 비용 면에서 장점을 가짐

자주포

SH-15 자주포

많은 업체의 주목을 받고 있는 브라질 차륜형 자주포 사업[최현호의 무기인사이드]

  • 개요: SH‑15는 최신 디지털 전술 네트워크와 화력통제 시스템을 갖춘 자주포로, 신속한 배치와 정밀 사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주요 성능
    • 주포 : 155mm 급 자주포
    • 사거리: 최대 50km.
    • 기동성 : 고속주행 및 첨단 보호 시스템 탑제
  • 특징: 6x6 휠 기반으로 높은 기동성 보유.
  • 비교 대상: 미국 M109A6 Paladin, 한국 K9 Thunder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며, 가격 및 운용 측면에서 경제성이 돋보임 

주력 전차 및 장갑 차량

VT-4

NORINCO_VT-4_at_IDEX_2017.jpg (1600×1200)

  • 개요: 최신형 중국산 전차로, 파키스탄 기갑 전력 현대화를 위해 도입
  • 주요성능 
    • 주포: 125mm 주포 사용
    • 방어력: 복합 장갑과 능동 보호 시스템 탑재
    • 전술 네트워크: 디지털 전투체계와 연계되어 운용
  • 특징: 125mm 활강포, 자동 장전 시스템, 
  • 비교 대상
  • Al-Khalid:
    • 개요: 중국과 파키스탄이 공동 개발한 전차.
    • 특징: 125mm 활강포, 우크라이나산 1,200마력 디젤 엔진 탑재.
  • 비교 대상: 인도 T‑90 등과 비교해 최신 기술과 운용 비용 면에서 경쟁력 보유

AL-Khalid (신형 전차)

Al-Khalid IDEAS 2012 - Al-Khalid tank - Wikipedia

 

  • 개요 및 성능: 파키스탄이 자체 개발·업그레이드한 전차로, 중국 기술이 반영된 최신 전투 체계입니다.
  • 주요 스펙:
    • 주포: 125mm 주포
    • 방어 시스템: 첨단 복합 장갑과 디지털 화력 통제 시스템 탑재
    • 전술 네트워크: 현대적 통합 전투 정보를 활용한 운용
  • 비교 대상: 인도 T‑90과 비교해 운용비용 및 유지보수에서 효율성이 높으며, 지역 전력 균형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 수행

 


해군 무기 및 해상 전력

Type 054A Frigate

Type 054A frigate - Wikipedia

  • 개요 및 성능: 중국산 설계 기반의 다목적 해군 함정으로, 대함·대공·어뢰 발사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 주요 스펙:
    • 무장: 대함 미사일, 대공 미사일, 어뢰 발사 시스템 등
    • 전자전: 최신형 레이더와 네트워크 중심 전투 시스템 탑재
  • 비교 대상: 인도 프리깃 함정 등과 비교해 다목적 운용 능력과 유지비용 측면에서 경쟁력 있음

C‑802 대함 미사일

C-802 ❘ Weaponsystems.net

  • 개요 및 성능: 중국에서 개발한 대함 미사일로, 해상 전투력 확보 및 함정 보호를 위한 핵심 무기입니다.
    • 중국의 YJ-83의 파생형으로 프랑스산  TRI 60-2 터보제트 추진 장치가 탑재된 수출형
  • 주요 스펙:
    • 사거리: 약 120km 내외
    • 유도 방식: 액티브 레이더 유도
    • 높은 타격 정확도 보유
  • 비교 대상: 서방산 대함 미사일 대비 경제성과 운용 면에서 우위

Hangor급 잠수함 (신형 잠수함)

    • 개요: Hangor급 잠수함은 중국 기술 지원 하에 파키스탄 해군에 도입된 최신 디젤‑전기 공격 잠수함
      • 중국의 Type 039A(위안급) 기반의 디젤-전기 추진 공격 잠수함.
    • 도입 계획: 총 8척(중국에서 4척, 파키스탄에서 4척 건조 예정).
  • 주요 스펙:
    • 추진 방식: 디젤‑전기 추진으로 높은 은폐성
    • 센서: 최신 소나 시스템 및 전자전 체계 탑재
    • 임무: 대함·대지 타격, 정보 수집 등 다기능 운용
  • 특징: 중국산 중어뢰 및 대함 미사일 탑재 가능.
  • 비교 대상:서방 및 지역 내 잠수함들과 비교해 도입 및 유지비용 면에서 효율적이며, 해상 전력 강화에 크게 기여

8. 종합 비교 표

무기 명 역활 주요 성능/특징 비교 대상 무기
JF‑17 Thunder 다목적 전투기 마하 1.6 이상, 전투 반경 약 1,850km, 최신 전자전 및 무장 탑재 미국 F‑16,
인도 LCA Tejas
J‑10C 다목적 전투기 마하 2.2 이상, 첨단 AESA 레이더, 고기동성, 다중 임무 운용, 공대공 무장(PL‑15E 탑재 가능) 인도 LCA Tejas,
미국 F‑16
CH‑4 / Wing Loong 무인항공기 (UAV) 체공 시간 24~40시간 이상, 정밀 타격용 무기 탑재, 고해상 영상 및 센서 데이터 제공 미국 Predator 계열
HQ‑9 / HQ‑9P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사거리 약 150km, 액티브 레이더 유도, 다중 목표 요격 및 빠른 재발사 지원 러시아 S‑300/S‑400,
미국 Patriot
PL‑15E 공대공 미사일 약 200km 내외의 확장 사거리, 고 off‑boresight 능력, 첨단 활성 레이더 유도 기능 미국 AIM‑120 AMRAAM,
러시아 R‑77
SH‑15 자주포 155mm 자주포, 첨단 화력 통제 및 디지털 전술 네트워크, 사거리 30~40km 이상 (로켓 보조탄 포함) 미국 M109A6 Paladin,
한국 K9 Thunder
VT‑4 MBT 주력 전차 125mm 주포, 복합 장갑 및 능동 보호 시스템, 디지털 전술 네트워크 탑재 인도 T‑90
AL‑Khalid 전차 주력 전차 125mm 주포, 최신 업그레이드된 방어 시스템 및 디지털 화력 통제, 통합 전술 정보 운용 인도 T‑90
Type 054A Frigate 해군 함정 다목적 무장, 최신 레이더 및 네트워크 중심 전투 시스템, 대함/대공/어뢰 체계 인도 프리깃 함정
C‑802 대함 미사일 사거리 약 120km, 액티브 레이더 유도, 높은 타격 정확도 서방산 대함 미사일
Hangor급 잠수함 해군 잠수함 최신 디젤‑전기 추진, 뛰어난 은폐성, 첨단 소나 시스템 및 전자전 체계, 다양한 임무 수행 서방 및 지역 내 공격 잠수함

 

🔍 결론 및 전망

 

파키스탄의 무기 현대화 전략은 단순히 개별 무기의 도입을 넘어, 전반적인 전투 체계의 첨단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비용 효율성: 중국산 무기들은 미국이나 서방산 무기에 비해 초기 도입 비용과 운용비가 낮아 국방 예산 부담을 크게 줄입니다.
  • 운용 유연성: 공군, 지상, 해군 각 분야에서 다목적 임무 수행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입하여, 복합 전투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 기술 경쟁력: 최신 전투기(J‑10C), 첨단 미사일(PL‑15E), 자주포(SH‑15) 및 현대화된 기갑 전차(AL‑Khalid) 등이 기존 체계 대비 전력 강화에 기여하며, 해군에서는 Hangor급 잠수함 도입으로 해상 전력 밸런스를 한층 높이고 있습니다.

파키스탄은 중국과의 긴밀한 군사 협력을 통해 다양한 현대식 무기를 도입하여 군사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인도와의 충돌에서는 중국산 무기들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그 성능을 입증하였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향후 남아시아 지역의 군사 균형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응형
LIST